티스토리 뷰
연말정산 월세 세액 공제 최대한 75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월세 세액 공제 금액에 대해 알아볼 것이고,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무엇인지, 공제를 받기 위해서 필요한 문서는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검토를 통해서 구체적 예시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월세 세액 공제 금액
우선 연말정산 월세 세액 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는 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 |
환급율(%) | 17% | 15% |
제한 | 7,500,000 | 7,500,000 |
세액공제 최대 금액 | 7,500,000 * 0.17 = 1,275,000 | 7,500,000 * 0.15 = 1,125,000 |
급여에 따라 돌려받을 수 있는 비율이 조금씩 다릅니다.
총 급여가 5,500만 원 이상인 사람들은 소득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을 돌려받습니다.
총 급여가 5,500만 원을 초과하면 15%를 돌려받을 수 있고, 그 이하면 17%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한도는 연간 7,500,000원입니다. 7,500,000원을 12개월로 나누면 월 62만 5,000원이 됩니다.
즉, 월 62만 5천 원에 월세의 17%(15%)를 돌려받지만 그 이상은 돌려받지 못합니다.
월세를 62만 5천 원으로 설정하고 나머지는 보증금으로 처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월세 세액 공제 조건
연말정산 월세 세액 공제를 받기 위한 몇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 총 급여액이 7000만 원 이하(근로소득자 중 종합소득 금액이 6천만 원 이하인 자 포함)
- 12월 31일 기준 무주택 세대주(세대주가 주택 관련 공제를 받지 않는 경우 세대원도 가능)
- 주거용 오피스텔, 고시원을 포함한 주택. 2019년부터는 국민주택규모(85m 이하)의 주택이거나 기준 시가 3억 원 이하
- 임대차 계약서 주소지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동일
- 계약자가 근로자 본인이거나 기본공제 대상자
신청하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월세 세액 공제 문서
연말정산 월세 세액 공제를 받기 위해 제출할 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임대차 계약서 사본
- 무통장입금증 등 월세액을 지급하였음을 증명하는 서류(월세 입금 내역서, 통장 거래내역서 등)
- 주민등록등본
임대차 계약서 사본은 원본을 복사하면 되고 주민등록등본은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약간 애를 먹었던 것이 월세액을 지급하였음을 증명하는 서류였습니다.
저는 카카오뱅크를 이용하여 자동이체를 하고 있었습니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카카오뱅크 앱 ▶ 고객센터 메뉴 ▶ 증명서 발급 메뉴 ▶ 예금 메뉴 ▶ 자동이체확인증
순으로 앱 화면을 이동하여 자동이체 확인증을 발급했습니다.
자동이체 확인증을 재무팀에 제출하니 월세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게 해 줬습니다.
월세 세액 공제 검토
제가 1년 동안 이체한 월세액은 총 3,600,000원입니다.
반전세라 상대적으로 월세가 낮은 편이죠.
주의하실 점은 보통 월세+관리비로 이체를 하실 건데 이 부분은 서류 제출하실 때 재무팀에 공유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관리비는 월세가 아니기 때문에 세액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저는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대상자라서 15%를 돌려받을 수 있었습니다.
3,600,000원 * 0.15 = 540,000원
연말정산 월세 세액 공제를 알고 서류만 제출했는데 다음 달 월급에 540,000원을 더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재테크 하시는 분들이라면 이런 부분 하나씩 꼼꼼하게 검토하는 게 필요합니다.
소득이 커질수록 납부하는 세금이 정말 커집니다.
조금이라도 절세하는 방법을 알아서 세금을 줄이거나 공제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월세, 반전세 사시는 분들 꼭 월세 세액 공제 챙기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