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1987 포스터
영화 1987 포스터

 

영화 『1987』은 2017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1987년, 대한민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된 ‘6월 민주항쟁’이라는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지금의 자유롭고 민주적인 사회가 오기까지 어떤 일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이들이 희생과 용기를 보였는지를 차분하게 보여주는 영화입니다.

이 글에서는 영화 『1987』을 보지 않으신 어르신들께도 쉽게 이해가 될 수 있도록, 영화 속 내용과 배경, 그리고 우리가 느껴야 할 의미를 자세히 풀어 설명드리겠습니다.

1987년이라는 시대 – 민주주의가 꽃피기 전의 대한민국

1987년은 군사정권이 나라를 다스리고 있던 시기였습니다. 국민들이 직접 대통령을 뽑지 못하고, 일부 권력자들에 의해 국가가 움직이던 때였지요. 많은 국민들은 자유롭게 말할 수 없었고, 정부에 반대하거나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체포되거나 조사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 가운데 많은 학생들과 시민들은 ‘우리가 직접 대통령을 뽑아야 한다’, ‘더 이상 억울한 일이 생겨선 안 된다’며 거리로 나섰습니다. 이 과정을 우리는 ‘6월 민주항쟁’이라고 부르며, 이는 우리나라가 지금처럼 국민이 주인이 되는 사회로 나아가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영화 줄거리와 주요 인물 소개

영화는 서울대학교 학생이었던 ‘박종철’이라는 청년이 경찰 조사 중 사망한 사건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그는 단지 친구의 소재를 묻는 경찰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고문을 당했고, 끝내 목숨을 잃게 됩니다. 이 사건은 당시 정부와 경찰에 의해 은폐되려 했고, ‘책상을 탁 쳤더니 억 하고 죽었다’는 말로 국민을 속이려 했습니다.

하지만 이 거짓을 밝히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움직입니다. 검사, 기자, 교도관, 신부, 대학생, 의사 등 각기 다른 위치의 사람들이 ‘진실’을 밝히기 위해 각자의 자리에서 용기를 냅니다. 이 영화는 바로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주요 인물 중 검사 ‘최 검사’는 윗선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시신 부검을 강제로 승인하면서 사건의 진실이 세상에 드러날 수 있게 됩니다. 교도관 ‘한병용’은 국가가 시킨 대로만 일하던 사람이었지만, 부당한 지시를 거부하며 진실을 전달합니다. 신부 ‘차인근’은 기자에게 사건 자료를 전달하며 보도되도록 도왔고, 대학생 연희는 처음에는 무관심했지만, 점차 상황을 이해하고 시위에 함께하게 됩니다.

영화 속 사건이 가진 의미

『1987』이 보여주는 사건들은 실제로 그 시절에 있었던 일들입니다. 그리고 이 영화는 단지 한 사람의 죽음만을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그 죽음을 숨기려 했던 권력, 진실을 밝히려는 시민들, 그리고 결국 하나 되어 거대한 변화의 물결을 만든 국민의 모습을 그립니다.

영화의 가장 큰 의미는 “진실은 숨길 수 없다”는 사실입니다. 처음에는 정부가 사건을 은폐하려 했고, 언론도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여러 사람의 노력과 작은 용기들이 모여 결국 국민 모두가 진실을 알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6월 항쟁이 시작되었으며, 결국 ‘직선제 개헌’이라는 큰 변화를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줍니다. 아무리 작은 사람이라도, 옳은 일을 위해 용기를 내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교훈을 줍니다.

영화가 주는 감동과 교훈

『1987』은 단지 과거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영화가 아닙니다. 지금 우리 사회가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는지를 되새기게 해 주는 작품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지금 누리는 자유와 권리를 당연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그것이 결코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 영화를 통해 다시 깨닫게 됩니다.

또한 이 영화는 ‘연결’의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기자 한 명, 검사 한 명, 신부 한 명, 학생 한 명, 이들의 이야기는 따로따로 흘러가는 것 같지만, 결국은 모두가 하나의 큰 진실을 드러내는 데 기여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실제 역사에서도 그렇게 이어졌습니다.

무엇보다 감동적인 점은, 영화 속 인물들이 모두 완벽하거나 특별한 영웅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오히려 평범한 시민들이 조금씩 용기를 냈고,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을 했을 뿐입니다. 그리고 그 작은 행동들이 모여 큰 변화를 이루었다는 사실이 진정한 감동을 줍니다.

마무리 – 우리가 함께 기억해야 할 이야기

영화 『1987』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이야기입니다. 특히 어르신들께는 당시의 상황이 더욱 생생히 느껴지실 수 있고, 그때의 긴장과 희생이 지금 우리의 자유로운 삶으로 이어졌다는 사실에 큰 감회가 드실 것입니다.

이 영화를 보시고 나면, 단지 한 편의 영화를 본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가 어떻게 지금에 이르렀는지에 대한 소중한 기록을 만난 기분이 드실 겁니다. 젊은 세대에게도 보여주시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 보신다면 그 자체로도 교육이자 추억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누군가의 희생 위에 세워졌습니다. 그리고 『1987』은 그 사실을 잊지 않도록 우리에게 조용히, 하지만 깊은 울림으로 전해줍니다.

반응형